• 최종편집 2023-05-27(토)

NEWS
Home >  NEWS

실시간뉴스
  • [우크라이나] 도심에서 '사격' 단수, 단전 등 심각한 수준
    (Ukraine = Wongeol Jeong) 푸틴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있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현지인이 메시지를 통해 현지 소식을 전해왔다. Dmitri라는 이름의 현지 청년은 "오늘 도심에서 포격, 총격 소리가 들렸다. 폭발음도 다시 들렸다. 전등이 오랜 시간동안 켜지지 않았다. 모바일 통신도 원활하지 않았다. 내가 있는 지역은 아마도 곧, 러시아의 영토가 될 것 같다."라며 현지 소식을 전했다. 또 다른 우크라이나 현지인인 Anzhela Usenko는 '지하 대피소에 있었고, 그곳은 매우 무서운 분위기였다. 사람들이 겁에 질려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지금은 집으로 왔고, 우크라이나 서부의 리비우에서 폴란드 국경으로 가기 위해 기차표를 샀다'며 '유럽에 난민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 미 대통령 및 다수의 국가들이 러시아에 경제적 제재를 가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NEWS
    • 지구촌
    • 유럽
    2022-02-25
  • [인터뷰] 다사다난했던 2021년을 보낸 콜로라도 조석산 이사장
    [인터뷰] 다사다난했던 2021년을 보낸 콜로라도 조석산 이사장 제 24대 콜로라도 주 한국 노인회 조석산 이사장 '다사다난했던 2021년을 보내며...'
    • NEWS
    • 미주 한인 뉴스
    2021-12-07
  • [신년사] 제 24대 콜로라도 주 한국 노인회 조석산 이사장
    (덴버=정원걸 기자) 콜로라도, 오로라에 소재한 더블트리 호텔 로비에서, 제 24대 콜로라도 주 한국 노인회 조석산 이사장이, 신년사로 교민들에게 새해 인사를 전했다. 아래는 신년사 전문 <제 24대 콜로라도 주 한국 노인회 조석산 이사장 신년사> 존경하는 교민 여러분. 2021년 신축년 소의 해가 저물고, 2022년 임인년 검은 호랑이의 해(흑호)가 밝아오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상권에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백신 접종률 높아지면서 상권도 점점 풀리고 있어, 한인 사회의 큰 원동력 되길 바랍니다. 최근 통합된 한인회에 작은 소음이 있지만, 한국인의 저력으로, 이겨나가며 올바른 한인 사회의 밑거름이 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을 다짐합니다. 20여년 동안 겪어온 진통을 한 번에 잠재우기는 힘들 것입니다. 그러나 시간을 두고 노력하면, 진정한 통합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존경하는 교민 여러분, 임인년 검은 호랑이의 해에는, 하시는 모든 일에 호랑이의 기운이 깃들어, 어떠한 어려움도 용맹하게 헤쳐나가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NEWS
    • 미주 한인 뉴스
    2021-12-07
  • [Culture] 'The meeting with Edward Elgar' Colorado Symphony
    (Denver=Wongeol Jeong) Friday evening, the temperature was dropping. As usual, around the Denver Center for the Arts, the views after sunset were clear. Rarely, people walked, cars followed the signal, going and standing. Lights of light bulbs covered the street. I parked and was about to cross the street, and across the street a man who looked like conductor Christopher Dragon was hurriedly entering the restaurant. He had 30 minutes until the concert, so I thought, 'He's going to eat something.' The concert started with Rossini's 'William tell overture'. The soft melody soon ended with a strong march-style ensemble. The concerto for the Tubin's double bass that followed created a strange atmosphere. As unrealistic as the names of double bass and contrabass were moving my heart. In Elgar's 'Enigma Variation', a huge wall of sound was flowing along with the conductor dragon's gestures. Sound was flowing through the wall, sometimes like water, with different colors, thicknesses, and textures. And while concentrating on the flow of that sound, my mind calmed itself down. Although he is a composer who does not exist in the world now, it was nice to meet Elgar's music again in this way. Thank you. Edward Elgar. There, with your beloved wife Alice, may you rest in peace...
    • NEWS
    • CULTURE
    • 전시/공연
    2021-12-06
  • [문화] 엘가와의 만남 '콜로라도 심포니'
    (Denver=Wongeol Jeong) 금요일 저녁, 기온이 하강하고 있었다. 늘 그렇듯이, 덴버 아트 센터의 주변에는, 해가 진 이후의 광경들이 선명했다. 드문드문 사람들이 걷고, 차들이 신호에 맞춰, 가거나 서거나 했다. 전구의 불빛들이 거리를 감싸고 있었다. 주차를 하고, 길을 건너려는데, 길 건너편에 지휘자 크리스토퍼 드래곤 처럼 보이는 남자가 황급히 식당으로 들어서고 있었다. 연주회 시간 까지는 아직 30분이나 남았으니 '뭔가 요기를 하려나보다'라고 생각했다. 연주회는 로시니의 '윌리엄 텔 서장' 으로 시작했다. 부드러운 선율은 이내 강렬한 행진곡 풍의 합주로 끝났다. 이어진 튜빈의 더블베이스를 위한 콘체르토는 기묘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더블베이스, 콘트라베이스라는 이름 만큼이나 비현실적인 소리들이 마음을 움직이고 있었다. 엘가의 '수수께끼 변형'은 거대한 소리의 벽이 드래곤의 손짓에 맞춰 흐르고 있었다. 소리는 벽으로, 때로는 물처럼 그 색감과 두께와 질감을 달리하며 흐르고 있었다. 그리고 그 소리의 흐름을 집중하고 있는 동안, 마음은 저절로 차분해졌다. 지금은 세상에 없는 작곡가이지만, 이런 방식으로 다시금 엘가의 음악을 조우하니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감사합니다. 에드워드 엘가. 그곳에서는, 당신의 사랑하는 아내 엘리스와 함께, 편히 잠들기를...
    • NEWS
    2021-12-05
  • [문화] 호두까기 인형, 덴버 아트 센터-앨리 컬킨스 오페라 하우스
    클라라와 그녀의 왕자님 호두까기 인형이, 엘리 컬킨스 오페라 하우스에서 열연을 펼친다. 차이코프스키의 경쾌한 음악에 맞춰 무용수들이 몸을 움직인다. 절제된 움직임 속에서, 호두까기 인형만의 아름다움이 묻어나온다. 크리스마스 이브 파티에서, 클라라는 선물로 호두까기 인형을 받는다. 클라라의 남동생 프리츠는, 호두까기 인형을 망가뜨리고, 파티가 끝난 밤, 쥐들의 왕이 쥐 군대를 이끌고 나타난다. 호두까기 인형은 자신의 병사들을 이끌고 쥐 군대에 맞서 싸운다. 쥐 군대를 물리친 호두까기 인형은 왕자로 변신해, 클라라와 함께 여행을 떠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여러 곳을 여행한다. 클라라와 호두까기 인형 왕자 앞에서, 각 나라의 춤이 펼쳐지고, 호두까기 인형은 잠이 든 클라라를 집으로 데리고 온다. 클라라는 크리스마스 아침, 호두까기 인형을 안고 잠에서 깨어난다. 호두까기 인형은 독일 작가 호프만의 동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대왕'을 모델로 한 작품이다. 차이코프스키는 1891년 호두까기 인형을 위한 작곡을 시작했다. 음악의 거장, 차이코프스키의 작품답게, 호두까기 인형의 음악은 웅장하면서도 섬세하다. 특히 사탕요정의 춤, 작은 서곡, 호두까기 인형 행진곡 등은 발레를 잘 모르는 이 에게도 익숙한 곡이다. 이번 호두까기 인형 발레 공연은 이번달 24일까지, 덴버 앨리 컬킨스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될 예정이다.
    • NEWS
    • CULTURE
    • 전시/공연
    2021-12-03

실시간 NEWS 기사

  • [Culture] An interview with ceramics artist Luanne Burke
    An interview with ceramics artist Luanne Burke Story and photos by Leslie Simon Artist Luanne Burke has been a part of the Arvada Center Ceramics program for 23 years, and we spoke with her about what makes the Center a great creative home. As her vision has decreased over the years, she shared how her artwork has changed, and how Arvada Center staff are able to help her visions come to fruition. Arvada Center: How did you initially find yourself taking art classes at the Arvada Center? Luanne: I came here about 23 years ago, as I had just moved back to the Front Range and decided that I was going to do art. I found out about the Arvada Center since I was living just down the road in Wheat Ridge, so I signed up for my first class, and Bebe (Alexander) was my first instructor. AC: You and Bebe have a really long history together! Were there any other teachers or students who inspired you over the years? L: I’ve been in Megan’s classes a lot, and recently I’ve been taking classes with Bradley, which I’ve really enjoyed. He’s really good at verbalizing things to me so that I can learn quickly, which is so important now that my vision has gone. And the people who work here like Steve, they are just so helpful. AC: Have the Arvada Center teachers taught you anything specific that really elevated your art? L: I sell work outside of the Center, and the work that I make here is the work that sells. It’s really just at a noticeable, higher caliber. They help me in so many ways. When I glaze pieces, I can ask questions and make sure I got it all, as sometimes I miss a spot. They always have someone that can check it for me. AC: Can you share with us a little about your art background? L: I have a B.A. in Fine Art and my focus was painting and drawing. Actually, ceramics was my worst class! But I did some sculptural stuff at CSU on an independent study level after I graduated, and I kind of played with clay there. Then once I came here, I haven’t stopped. AC: If ceramics was your worst class initially, what changed? L: When I was looking to take a class here, I decided to go with clay because it was available, and I immediately had a blast with it. I was using it more like fabric, because I wasn’t using the wheel. I was hand-building, so I was using it more like fabric wrapping. I’ve always admired Bebe’s work (her work to me is exquisite!), and when she was doing architectural stuff I said to her “I can’t do that.” She said “Don’t worry about it. Work the way you work. You work well organically, that’s who you are, so go for it.” And that is THE best thing anyone has ever said to me, it just freed me up to try the things I am natural at. AC: When you start a piece, do you have an idea of what you want to do? L: Typically I do. I get ideas, I have dreams, I have dreamed about a lot of artwork. When you are in that waking state between wake and sleep. That’s when I get a lot of ideas. I can’t sketch my work anymore, so I just put it in my dictated notes recorder. I say all the details and describe the vision, and in terms of color I can get myself into a really meditative state. That’s never been an issue for me. I would come up with color schemes here and other students would say “I want to do what she’s doing!” It’s kind of funny because I can’t see the color, but I knew what I wanted based on what I would see in my mind. AC: How has your art progressed and changed over the years? L: I’ve worked here as well as at other studios. There was a time I was doing figurative work, some of it was really organic, I did a lot of raku, then I was doing some really beautiful faces and hands, and figures that were quite large, I did that down in Denver. They were more realistic, and I don’t know that my work is like that anymore. I am going to try to do that again, but I don’t really know what the outcome is since I can’t see it. In that sense it has changed, I will talk to Bebe and say “I don’t know if I can do that.” But I’m doing these more abstract ideas where I draw into the clay. And she is so encouraging and says she really likes it, so that encourages me to keep going. Whatever comes naturally! My work is a little different than when I started because back then I could see somewhat - not perfectly, but somewhat- and now I can’t see anything. So it is a different experience. But yet there is still the internal inspiration. AC: How has being a natural born artist impacted the rest of your life? L: I’ve always done art, I definitely feel like I was born an artist. It’s who I am, it’s what my brain is like. But I also do a lot of athletics. So I have these two sides, and it requires different use of my brain. But even with athletics you get into an open state, and that’s when I really excel. AC: What kind of athletics are you into? L: I used to ski, I ski-raced. Then I got into running, I started running when I was 14. I was also a swimmer, I’ve never been that good as a swimmer, but I’m glad I did because now I know how to swim! AC: Anything that can get you into that flow state! Do you have any advice to give to art students about finding their talent? L: One of the things about being here at the Arvada Center is that there is a plethora of resources and things to try. If somebody has tried something and it turned out really great, you get to learn what they have done. I love how we share different things. Be open, learn from whoever - you can learn something from everybody. There is always something to learn from everybody, regardless of the teacher that you take. AC: Is there anything else you would like to add? L: I just want to reiterate how great the Arvada Center has been to me. They are really open and supportive, they have never been condescending in any way. They’ve always known what I’m capable of, and they treat me like everyone else. And that’s been a godsend, it really has.
    • NEWS
    • CULTURE
    • 전시/공연
    2022-11-09
  • [부고] 조규섭 별세
    ◇(고)조규섭씨 동년 동월 6일 향년 67세 소천 장례 일시 및 장소 -동년 동월 21일(금요일) 오전 9시 30분 Olinger Crown Hill 7777 W 29th Ave, Wheat Ridge, CO 80033 부고인 형제 : 조규천, 조석산, 조규웅 사촌 : 조교군, 조규태, 조규종
    • NEWS
    • 미주 한인 뉴스
    2022-10-19
  • [CULTURE] Fort. Morgan 'Cultural Festival' at Fort. Morgan City Park
    (Fort. Morgan = Wongeol Jeong) August 14th, Sunday. At Fort. Morgan City Park, 'Culture Festival' held.
    • NEWS
    • CULTURE
    • 전시/공연
    2022-08-16
  • [우크라이나] 도심에서 '사격' 단수, 단전 등 심각한 수준
    (Ukraine = Wongeol Jeong) 푸틴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있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현지인이 메시지를 통해 현지 소식을 전해왔다. Dmitri라는 이름의 현지 청년은 "오늘 도심에서 포격, 총격 소리가 들렸다. 폭발음도 다시 들렸다. 전등이 오랜 시간동안 켜지지 않았다. 모바일 통신도 원활하지 않았다. 내가 있는 지역은 아마도 곧, 러시아의 영토가 될 것 같다."라며 현지 소식을 전했다. 또 다른 우크라이나 현지인인 Anzhela Usenko는 '지하 대피소에 있었고, 그곳은 매우 무서운 분위기였다. 사람들이 겁에 질려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지금은 집으로 왔고, 우크라이나 서부의 리비우에서 폴란드 국경으로 가기 위해 기차표를 샀다'며 '유럽에 난민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 미 대통령 및 다수의 국가들이 러시아에 경제적 제재를 가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NEWS
    • 지구촌
    • 유럽
    2022-02-25
  • [인터뷰] 다사다난했던 2021년을 보낸 콜로라도 조석산 이사장
    [인터뷰] 다사다난했던 2021년을 보낸 콜로라도 조석산 이사장 제 24대 콜로라도 주 한국 노인회 조석산 이사장 '다사다난했던 2021년을 보내며...'
    • NEWS
    • 미주 한인 뉴스
    2021-12-07
  • [신년사] 제 24대 콜로라도 주 한국 노인회 조석산 이사장
    (덴버=정원걸 기자) 콜로라도, 오로라에 소재한 더블트리 호텔 로비에서, 제 24대 콜로라도 주 한국 노인회 조석산 이사장이, 신년사로 교민들에게 새해 인사를 전했다. 아래는 신년사 전문 <제 24대 콜로라도 주 한국 노인회 조석산 이사장 신년사> 존경하는 교민 여러분. 2021년 신축년 소의 해가 저물고, 2022년 임인년 검은 호랑이의 해(흑호)가 밝아오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상권에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백신 접종률 높아지면서 상권도 점점 풀리고 있어, 한인 사회의 큰 원동력 되길 바랍니다. 최근 통합된 한인회에 작은 소음이 있지만, 한국인의 저력으로, 이겨나가며 올바른 한인 사회의 밑거름이 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을 다짐합니다. 20여년 동안 겪어온 진통을 한 번에 잠재우기는 힘들 것입니다. 그러나 시간을 두고 노력하면, 진정한 통합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존경하는 교민 여러분, 임인년 검은 호랑이의 해에는, 하시는 모든 일에 호랑이의 기운이 깃들어, 어떠한 어려움도 용맹하게 헤쳐나가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NEWS
    • 미주 한인 뉴스
    2021-12-07
  • [Culture] 'The meeting with Edward Elgar' Colorado Symphony
    (Denver=Wongeol Jeong) Friday evening, the temperature was dropping. As usual, around the Denver Center for the Arts, the views after sunset were clear. Rarely, people walked, cars followed the signal, going and standing. Lights of light bulbs covered the street. I parked and was about to cross the street, and across the street a man who looked like conductor Christopher Dragon was hurriedly entering the restaurant. He had 30 minutes until the concert, so I thought, 'He's going to eat something.' The concert started with Rossini's 'William tell overture'. The soft melody soon ended with a strong march-style ensemble. The concerto for the Tubin's double bass that followed created a strange atmosphere. As unrealistic as the names of double bass and contrabass were moving my heart. In Elgar's 'Enigma Variation', a huge wall of sound was flowing along with the conductor dragon's gestures. Sound was flowing through the wall, sometimes like water, with different colors, thicknesses, and textures. And while concentrating on the flow of that sound, my mind calmed itself down. Although he is a composer who does not exist in the world now, it was nice to meet Elgar's music again in this way. Thank you. Edward Elgar. There, with your beloved wife Alice, may you rest in peace...
    • NEWS
    • CULTURE
    • 전시/공연
    2021-12-06
  • [문화] 엘가와의 만남 '콜로라도 심포니'
    (Denver=Wongeol Jeong) 금요일 저녁, 기온이 하강하고 있었다. 늘 그렇듯이, 덴버 아트 센터의 주변에는, 해가 진 이후의 광경들이 선명했다. 드문드문 사람들이 걷고, 차들이 신호에 맞춰, 가거나 서거나 했다. 전구의 불빛들이 거리를 감싸고 있었다. 주차를 하고, 길을 건너려는데, 길 건너편에 지휘자 크리스토퍼 드래곤 처럼 보이는 남자가 황급히 식당으로 들어서고 있었다. 연주회 시간 까지는 아직 30분이나 남았으니 '뭔가 요기를 하려나보다'라고 생각했다. 연주회는 로시니의 '윌리엄 텔 서장' 으로 시작했다. 부드러운 선율은 이내 강렬한 행진곡 풍의 합주로 끝났다. 이어진 튜빈의 더블베이스를 위한 콘체르토는 기묘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더블베이스, 콘트라베이스라는 이름 만큼이나 비현실적인 소리들이 마음을 움직이고 있었다. 엘가의 '수수께끼 변형'은 거대한 소리의 벽이 드래곤의 손짓에 맞춰 흐르고 있었다. 소리는 벽으로, 때로는 물처럼 그 색감과 두께와 질감을 달리하며 흐르고 있었다. 그리고 그 소리의 흐름을 집중하고 있는 동안, 마음은 저절로 차분해졌다. 지금은 세상에 없는 작곡가이지만, 이런 방식으로 다시금 엘가의 음악을 조우하니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감사합니다. 에드워드 엘가. 그곳에서는, 당신의 사랑하는 아내 엘리스와 함께, 편히 잠들기를...
    • NEWS
    2021-12-05
  • [문화] 호두까기 인형, 덴버 아트 센터-앨리 컬킨스 오페라 하우스
    클라라와 그녀의 왕자님 호두까기 인형이, 엘리 컬킨스 오페라 하우스에서 열연을 펼친다. 차이코프스키의 경쾌한 음악에 맞춰 무용수들이 몸을 움직인다. 절제된 움직임 속에서, 호두까기 인형만의 아름다움이 묻어나온다. 크리스마스 이브 파티에서, 클라라는 선물로 호두까기 인형을 받는다. 클라라의 남동생 프리츠는, 호두까기 인형을 망가뜨리고, 파티가 끝난 밤, 쥐들의 왕이 쥐 군대를 이끌고 나타난다. 호두까기 인형은 자신의 병사들을 이끌고 쥐 군대에 맞서 싸운다. 쥐 군대를 물리친 호두까기 인형은 왕자로 변신해, 클라라와 함께 여행을 떠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여러 곳을 여행한다. 클라라와 호두까기 인형 왕자 앞에서, 각 나라의 춤이 펼쳐지고, 호두까기 인형은 잠이 든 클라라를 집으로 데리고 온다. 클라라는 크리스마스 아침, 호두까기 인형을 안고 잠에서 깨어난다. 호두까기 인형은 독일 작가 호프만의 동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대왕'을 모델로 한 작품이다. 차이코프스키는 1891년 호두까기 인형을 위한 작곡을 시작했다. 음악의 거장, 차이코프스키의 작품답게, 호두까기 인형의 음악은 웅장하면서도 섬세하다. 특히 사탕요정의 춤, 작은 서곡, 호두까기 인형 행진곡 등은 발레를 잘 모르는 이 에게도 익숙한 곡이다. 이번 호두까기 인형 발레 공연은 이번달 24일까지, 덴버 앨리 컬킨스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될 예정이다.
    • NEWS
    • CULTURE
    • 전시/공연
    2021-12-03
  • 울산시,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 협약식' 개최
    울산시가 지역 금융기관과 함께 청년 주거비를 지원한다. 울산시는 한국주택금융공사, 비엔케이(BNK)경남은행, 엔에이치(NH)농협은행과 함께 4월 27일 오전 10시 본관 7층 상황실에서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 협약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울산시 등 4개 기관은 관내 주민등록을 한 19세에서 34세까지의 무주택 청년이 임차보증금 1억 5,000만 원 이하, 주택법상 주택 또는 주거용 오피스텔에 입주하는 경우 임차보증금에 대한 대출추천과 보증금에 대한 이자를 지원해준다. 임차보증금 5,000만 원 한도 내 이자율 3% 지원하며 보증금 이자 지원비는 총 7,500만 원이다. 오는 5월 3일부터 신청 가능하며, 나이와 소득 등 자격심사를 거쳐 지원 대상자를 선정한 후 비엔케이(BNK)경남은행 또는 엔에이치(NH)농협지점에서 대출심사를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울산시 누리집 고시/공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신청은울산시 사회혁신담당관 청년정책팀(☎229-8482)으로 하면 된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이 사업이 사회초년생의 전·월세 비용부담 완화 등 청년의 주거안정으로 정주여건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취업난과 생활고를 겪고 있는 청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다양한 청년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 발굴·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이번 사업이외에 청년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신혼부부와 취업청년을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 신혼부부 주거지원 △ 청년 드림스페이스 지원 3개 사업이다.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사업’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20대 미혼 자녀가 학업이나 구직 등을 이유로 부모와 따로 사는 경우 부모에게 지급되는 주거 급여와는 별도로 자녀에게 주거급여를 지급하는 제도다. 임차가구는 1인 가구 최대 월 19만 원, 4인 가구 최대 월 29만 원을, 자가가구는 수선유지 경보수 457만 원, 중보수 849만 원, 대보수 1,241만 원을 지원한다. ‘신혼부부 주거지원 사업’은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19세~39세 이하 신혼부부로 혼인기간이 10년 이하여야 한다. 월 임대료는 최대 25만 원, 관리비 최대 10만 원까지 출생 자녀수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최장 10년까지 무상 지원한다. 사업시행 첫 해인 올해는 신혼부부 1,300가구에 임대료 19억 원, 880가구에 관리비 5억 원 등 총 24억 원을 지원한다. ‘청년 드림스페이스 지원 사업’은 2018년 1월 1일 이후 관내 중소·중견기업(비영리법인 포함)에 취업했거나 창업 후 전입한 월소득 350만 원 이하인 청년이 대상이다. 매월 20만 원씩 10개월간 최대 20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며 신청기간은 매월 1일부터 15일까지이다.
    • NEWS
    • 사회
    • 사회일반
    2021-04-29
비밀번호 :